홍세화 선생님의 "그대 이름은 무식한 대학생" 이라는 글을 읽고 많은 생각이 들었다. 공감도 반성도 많이 되어 나도 글을 한 편 써봤다. 아래는 "그대 이름은 무식한 대학생"의 전문
그대 이름은 '무식한 대학생' - 홍세화
그대는 대학에 입학했다. 한국의 수많은 무식한 대학생의 대열에 합류한 것이다. 지금까지 그대는 12년 동안 줄세우기 경쟁시험에서 앞부분을 차지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영어 단어를 암기하고 수학 공식을 풀었으며 주입식 교육을 받아들였다. 선행학습, 야간자율학습, 보충수업 등 학습노동에 시달렸으며 사교육비로 부모님 재산을 축냈다.
그것은 시험문제 풀이 요령을 익힌 노동이었지 공부가 아니었다. 그대는 그 동안 고전 한 권 제대로 읽지 않았다. 그리고 대학에 입학했다. 그대의 대학 주위를 둘러 보라. 그 곳이 대학가인가? 12년 동안 고생한 그대를 위해 마련된 '먹고 마시고 놀자'판의 위락시설 아니던가.
그대가 입학한 대학과 학과는 그대가 선택한 게 아니다. 그대가 선택 당한 것이다. 줄세우기 경쟁에서 어느 지점에 있는가를 알게 해주는 그대의 성적을 보고 대학과 학과가 그대를 선택한 것이다. '적성' 따라 학과를 선택하는 게 아니라 '성적' 따라, 그리고 제비 따라 강남 가듯 시류 따라 대학과 학과를 선택한 그대는 지금까지 한 권도 제대로 읽지 않은 고전을 앞으로도 읽을 의사가 별로 없다. 영어영문학과, 중어중문학과에 입학한 학생은 영어, 중국어를 배워야 취직을 잘 할 수 있어 입학했을 뿐, 세익스피어, 밀턴을 읽거나 두보, 이백과 벗하기 위해 입학한 게 아니다. 그렇다면 차라리 어학원에 다니는 편이 좋겠는데, 이러한 점은 다른 학과 입학생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 '인문학의 위기'가 왜 중요한 물음인지 알지 못하는 그대는 인간에 대한 물음 한 번 던져보지 않은 채, 철학과, 사회학과, 역사학과, 정치학과, 경제학과를 선택했고, 사회와 경제에 대해 무식한 그대가 시류에 영합하여 경영학과, 행정학과를 선택했고 의대, 약대를 선택했다.
한국 현대사에 대한 그대의 무식은 특기할 만한데, 왜 우리에게 현대사가 중요한지 모를 만큼 철저히 무식하다. 그대는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민족지'를 참칭하는 동안 진정한 민족지였던 <민족일보>가 어떻게 압살되었는지 모르고, 보도연맹과 보도지침이 어떻게 다른지 모른다. 그대는 민족적 정체성이나 사회경제적 정체성에 대해 그 어떤 문제의식도 갖고 있지 않을 만큼 무식하다. 그대는 무식하지만 대중문화의 혜택을 듬뿍 받아 스스로 무식하다고 믿지 않는다. 20세기 전반까지만 해도 읽지 않은 사람은 스스로 무식하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지금은 대중문화가 토해내는 수많은 '정보'와 진실된 '앎'이 혼동돼 아무도 스스로 무식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하물며 대학생인데! "당신의 능력을 보여주세요!"에 익숙한 그대는 '물질적 가치'를 '인간적 가치'로 이미 치환했다. 물질만 획득할 수 있으면 그만이지, 자신의 무지에 대해 성찰할 필요조차 느끼지 않게 된 것이다.
그대의 이름은 무식한 대학생. 그대가 무지의 폐쇄회로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인가. 그것은 그대에게 달려 있다. 좋은 선배를 만나고 좋은 동아리를 선택하려 하는가, 그리고 대학가에서 그대가 찾기 어려운 책방을 열심히 찾아내려 노력하는가에 달려 있다.
대중이 되려 하는가
대중의 삶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가장 먼저 나온 대답은 "분위기"이다. 그들의 삶은 분위기로 시작해 분위기로 끝난다. 분위기, 느낌, 이미지와 같은 것들에서 모든 판단이 시작되고 끝난다. 판단보다는 선호 관계 정도가 맞지만 그들의 삶에선 그것이 최대의 판단이 된다.
"앎"에 대해 대중은 말한다. "경험해봐야만 아는 것은 바보" 라는 말이다. 본래의 의미에는 동의하지만, 항상 문제는 진리를 잘못 해석한 대중에게서 발생한다. 이 말은 경험한 적 없는 문제에 대해 아는 체나 하기 위해 사용할 말이 아니다. 경험을 위한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지 않았다면 과거의 경험을 통해 가장 최선의 판단을 내리라는 것이다. 누구보다 충분한 시간이 주어져 있는 20대 대학생이, 풍부한 경험이라곤 화장과 게임 말고는 없는 이 20대가, 자신이 모르는 미지의 분야에 도전하지도 못 할 두려움으로 무장한 채 자신의 체면이나 지키자고 남의 노력을 폄하하라고 있는 말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저 자신이 이루어 놓은 수능 1등급이나 의치한 따위의 타이틀에 이십대 중반이 지나도록 취해있는 이 20대가 세상의 모든 일이 국영수를 통해 움직일 것이라 생각하라고 사용하는 말이 아니다. 세상이 학교 밖에 있음을 모르는 것은, 흔히 말하는 지잡대나 상위 1%의 명문대나 전혀 다를 것이 없다. 학위가 없다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에 대한 대답은 바라지도 않거니와, 각자의 경험과 사고가 학교나 전공책 따위에 갇혀 있음을 인정하는 자세라도 필요한 것이다.
"삶"에 대해 대중은 말한다. "한 번 뿐인 인생, 좋아하는 것을 하자" 라는 말이다. 그럼 나는 무엇을 좋아하냐고 반문하는데, 거기에 대한 대답은 도대체 "연애, 여행, 술먹기"에서 단 한 번도 벗어난 적이 없다. 한국의 20대가 여자친구나 남자친구를 만들 때 하는 고민과 열정의 절반만 자신의 커리어에 쏟았으면 한국에도 노벨상과 필즈상이 있었을 것이다. 지식을 탐구하고 진리를 추구한다는 고등교육기관의 취지가 무색하게도 이곳은 무식한 대학생이 무식한 대학생을 만나 분위기, 느낌, 이미지에 대해 고민하고 공유하는 일만 반복하는, 성취, 성장, 노력은 찾아볼 수 없는 "사유의 사막"이 되었다. 자신이 몸담은 분야에 대한 최소한의 계획도 없이 그저 문제 답이나 한 문제 더 맞고 점수 1점이나 더 받고, 그보다 더 끔찍한 경우에는 옆에 앉은 동기만 이기겠다는 심보로 대학 생활을 보낸다. 이곳에 사유가 남아있는가? 나는 아니라고 본다. 대중이 "인식"과 "사유"를 구분하는가? 또한 아니라고 본다.
그대 대중이 되려 하는가, 10대의 전반을 외롭고 치열하게 불태운 결과를 고작 "대중"이 되는 데에만 사용하려는가. 그저 분위기에 편승하고 이미지나 생각하는 그런 나약하고 저렴한 인간으로 살아가려는가? 자유 민주주의 사회를 지향하는 세계 10위권 선진국의 엘리트 교육을 받았다는 1%의 그대가 이 자유 사회에서 하지 못할 것이 없음에도, 도대체 무엇이 두려워 도망치는가. 그대는 사유의 홍수에 뛰어들어 삶을 진정으로 성찰하고 더 큰 세상을 볼 줄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자신이 걸어온 길이 그저 수없이 많은 전문가가 그대의 자존감이나 키워주기 위해 만들어 준 "만들어진 길" 임을 인지해야 한다. 여기에서 모든 것이 시작된다.
'여담 >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이 가지는 미지에 대한 공포심 (0) | 2023.09.02 |
---|
댓글